반응형
공무원은 급수만 나뉘는것이 아니라 종류도 많고 직렬이 다른경우가 있습니다. 국가직 공무원은 매년 4월에 필기시험을 봅니다. 지방직 공무원은 매년 5월~6월에 필기시험이 있고, 서울직 공무원은 매년 5월~6월로 지방직공무원과 동일하게 필기시험을 봅니다. 국가직공무원, 지방직 공무원무엇이 다른지 알고 계신가요?
국가직 공무원, 지방직 공무원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국가직 공무원, 지방직 공무원 차이점
국가직 공무원
- 국가직의 임용권자는 대통령이나 소속장관으로 행정부 각 부처 및 소속기관에서 근무합니다.
- 중앙정부의 업무를 수행하고 거주기 제한없이 자유롭게 응시가 가능합니다.
- 국가직 공무원의 경우 2~3년 간격으로 전국 순환근무로 발령을 받습니다.
필기시험 일정
- 매년 4월
주요채용직렬
- 일반행정
- 세무
- 고용노동
- 선거행정
- 직업상담
- 관세
- 통계
- 보호
- 교정
- 마약수사
- 검찰
- 철도경찰
- 기술직
- 출입국관리
국가직 공무원 장점
- 사람상대하는 일만큼 힘든것이 없는데요. 민원응대한는 일의 빈도가 낮습니다.
- 비상근무제도에서 자유로운 편입니다.
- 업무가 전문적으로 주도적 업무처리가 가능합니다.
- 지방직에 비해서 승진이 빠르다고 합니다.
국가직 공무원 단점
- 전국으로 순환근무를 해야하기 때문에 정착이 불가능합니다.
- 업부량과 업무 난이도가 높은편입니다.
- 누구나 응시 가능하여 경쟁률이 높은편입니다.
교정, 철도경찰직의 경우 체력시험이 있으니 체력관리도 필수입니다.
국가직공무원 교정직 체력시험
- 20미터 왕복달리기
- 악력
- 윕몸일으키기(60초)
- 20미터 2회 왕복달리기
- 합격기준은 남자와 여자 다릅니다.
국가직공무원 철도경찰 체력시험
- 20미터 왕복 오래달리기
- 악력
- 윗몸일으키기(60초)
- 10미터 2회 왕복달리기
- 눈감고 외발서기
지방직 공무원
- 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부터 임용이 됩니다.
- 시,군,구청 및 주민센터에서 지방사무를 담당합니다.
- 거주지 제한이 있고, 조건이 충족되어야 응시 가능합니다.
- 국가직공무원처럼 순환근무가 아닌 한 번 발령받은 지역에서 계속 근무가 가능합니다.
필기시험 일정
- 매년 5월~5월
주요채용직렬
- 일반행정
- 세무
- 사회복지직
- 사서직
- 속기직
- 기술직군
- 보건직
- 간호직
- 운전직
- 지적직
- 출산직
지방직공무원 장점
-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평생 근무 가능합니다.
- 한 지자체 내에서 순환근무를 하기 때문에 생활에 있어 편리하고 인간관계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 연고지 있는 사람만 응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직공무원에 비해 경쟁률이 낮은 편입니다.
지방직공무원 단점
- 대민업무가 많기때문에 민원업무 스트레스가 많습니다.
- 자연재해, 질병 발생등의 비상대기나 비상근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여러 지역 행사에 동원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