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고등학교에서도 대학교처럼 학생 스스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되는 고교학점제 2025년부터 전면 적용된다고 하는데요. 얼만큼 알고 계신가요? 고교학점제는 2020년 마이스터고에 우선 도입된 뒤 2022년에는 특성화고·일반고 등에 학점제 제도를 부분 도입하고, 2025년에는 전체 고교에 전면 시행된다고 합니다. 고교학점제가 도대체 무엇인지, 뭐가 달라지는것인지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▶ 고교학점제란?
-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,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,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, 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를 말합니다
1. 진로에 따라 과목 선택
- 지금까지는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들었지만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,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수업을 듣게 됩니다.
2. 과목 이수 제도
기존에는 성취한 등급에 상관없이 과목을 이수할 수 있었지만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이 목표한 성취 수준에 충분히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과목이수를 인정해 줍니다.
3. 누적학점 도달 후 졸업
기존 고등학교에서는 출석일수로 졸업여부를 결정하였지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누적된 과목 이수학점이 졸업기준에 이르렀을 때 졸업이 가능합니다.
고교학점제의 도입시기
- 2009년생 이후부터 해당됩니다.
- 학점제 교육 이후 고교3년간 총 192학점 이수시 졸업할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되는 것입니다.
- 1학년은 공통과목(필수과목)을 이수해야합니다.
- 2학년 3학년부터는 선택과목이수
- 수업만 들으면 고교학점이 인정되는 것이 아닌 일정점수 아래로는 미이수 처리가 되면 다시 수업을 듣고 시험을 치뤄야합니다.
고교학점제 성적표
- 고교학점제 성적은 2가지 방식으로 성적평가를 합니다.
9등급 상대평가
- 현재 고등학교 내신 과 수능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.
-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목에서는 같은 방식인 9등급 상대평가 방식으로 성적평가를 합니다.
6등급 성취도 평가
- 2학년, 3학년에는 자신이 배우는 선택과목들로 등수를 내지 않는 절대평가로 등급을 표기하지 않고 6단계 성취도 평가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.
- 수업을 들었지만 40점 미만이면 미이수가 됩니다.
출석률(수업횟수의 2/3 이상)과 학업성취율(40% 이상)을 충족하면 학점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.
3년 동안 192학점 이수
-1학년 : 공통과목, 평가방식(9등급)
-1학년 2학기~3학년 : 선택과목, 평가방식(성취도 A~E)
고교학점제 미이수시에는??
- 고교학점제 미이수가 되면 어떻게 되는것일까요? 졸업을 하지 못합니다. 졸업을 하려면 192학점을 이수해야합니다.
- 방학이나, 보충수업등으로 미이수 등급을 이수할수 있는 방안도 마련 될 수 있다고 하니 졸업을 못할까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.
고교학점제 공통과목
- 국어, 수학, 영어, 한국사, 사회, 과학 등은 공통과목으로 1학년때 배우는 주요과목들입니다.
고교학점제 선택과목
- 2학년 이후 배우게 되는 선택과목들은 기존 고등학교 교과목과 이름이 달라질 수 있고, 신설되는 과목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.
고교학점제 학교에서 어떻게 운영되나요?
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다음의 단계에 따라 학사제도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.
- 교육과정 학생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
- 수강신청 진로 학업설계 지도를 통한 학생의 과목 선택
- 수업운영 학생참여형 수업, 미이수 예방 지도
- 평가 수업연계 과정 중심평가 성취평가 실시
- 이수, 미이수 : 보충이수 지원
- 학점취득 이수기준 도달 시 학점 취득
- 졸업 학점 기준의 졸업요건 설정
▶ 고교학점제 도입시기
반응형
댓글